2025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곳 최신 정리 및 소비쿠폰 신청 총정리
내 고향도 포함될까? 인구소멸지역과 소비쿠폰 혜택 모두 확인해보세요
2025년 기준으로 전국 84곳이 인구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되며, 해당 지역 거주자에게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추가 혜택이 주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구소멸지역의 전체 목록과 분포 특징, 그리고 소비쿠폰의 신청 방법과 금액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특히 농어촌 거주자라면 최대 30만원까지 지급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인구소멸지역이란 무엇인가요?
‘인구소멸지역’은 단순히 사람이 적은 지역이 아니라, 젊은 여성 인구가 고령 인구보다 현저히 적은 지역을 의미합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하는 ‘인구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 0.2 미만이면 소멸고위험지역으로 지정됩니다. 이 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청년층의 이탈과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지역은 앞으로 수십 년 안에 행정 기능이나 인구 기반 자체가 사라질 위험이 있다는 경고이기도 합니다.
2025년 기준 인구소멸지역 84곳 명단
구분 | 시군명 |
---|---|
강원 | 고성군, 양구군, 인제군, 평창군, 정선군, 화천군, 홍천군 |
경북 | 군위군, 봉화군, 울릉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예천군, 고령군 |
경남 |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
전북 | 고창군,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
전남 |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
충북 |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음성군 |
충남 | 계룡시, 금산군, 논산시,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
제주 | 남원읍, 성산읍, 한경면 |
인구소멸지역의 공통점과 특징
2025년 소멸위험 지역은 몇 가지 뚜렷한 특성을 보입니다.
- 대부분 산간 혹은 도서지역으로, 접근성과 생활 인프라 부족이 문제
- 고령화율이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
- 농업·어업 중심 산업 구조로 인해 청년층 유입이 어려움
이로 인해 청년 인구가 더 빠르게 빠져나가며, 학교나 병원, 편의시설 등 기본 인프라마저 유지되기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정부 대응: 인구소멸 특별법과 지역 지원 확대
정부는 2024년부터 인구소멸대응 특별법을 시행하며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대응 분야 | 주요 내용 |
---|---|
청년 유입 | 창업 지원, 귀촌 장려금, 주거비 지원 등 |
디지털 인프라 | 인터넷망, 원격의료, 스마트팜 구축 |
재정지원 | 지역 보조금, SOC 투자 확대 |
민생회복 소비쿠폰: 농어촌 거주자 추가 5만원 지급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거주자라면 기본 소비쿠폰에 더해 5만원이 추가 지급됩니다. 아래는 신청 조건과 금액입니다.
구분 | 기본 금액 | 농어촌 추가 | 최대 수령액 |
---|---|---|---|
일반 국민 | 15만원 + 10만원 | +5만원 | 30만원 |
차상위계층 | 30만원 + 10만원 | +5만원 | 45만원 |
기초생활수급자 | 40만원 + 10만원 | +5만원 | 55만원 |
2025년 7월 21일부터 주민센터 또는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사용 기한은 12월 30일까지입니다.
지원금 사용처 및 주의사항
지원금은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동네 상점, 전통시장, 학원 등에서 사용 가능하며,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몰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사용하지 않으면 기간 만료 시 소멸되므로 반드시 기한 내 사용해야 합니다.
농어촌 회복은 모두의 과제
2025년 기준 인구소멸지역 84곳은 단순한 통계를 넘어, 실제 삶의 기반이 흔들릴 수 있는 위기입니다. 정부의 정책도 중요하지만,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그리고 균형 있는 정책 추진이 병행돼야만 진정한 지역 회복이 가능해집니다.
내 고향이 포함됐다면, 지금 바로 소비쿠폰 신청과 함께 지역 활력 회복에 함께 동참해보시길 바랍니다.